궁금증 해결

타이어 공기압 낮을 때 대처방법(여름,겨울철 공기압 적정수치)

얼음땡땡 2022. 12. 14. 21:42
728x90

타이어 공기압이 저압이나 낮을 때 대처방법과 여름과 겨울철에 몇으로 해야 적정한 공기압이 들어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운행을 하는 도중에 공기압 체크하라는 문구가 나올 때 대처방법도 소개합니다.


목차

1. 타이어 공기압 표시 경고등

2. 여름, 겨울철 공기압 적정수치

3. 운행 중 공기압 체크 문구 대처


 타이어 공기압 표시 경고등

 

먼저 육안으로 공기압이 이상하다고 보기에는 쉽지 않습니다. 요즘 차는 공기압 체크문의가 차량 계기판에 표시가 됩니다. 이 표시를 잘 기억하시고 차 계기판에서 이 표시가 나면 공기압을 반드시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항아리 모양에 ! 표시가 들어가 있는 경고등>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자동차 공기압 경고등 표시


특히나 겨울철에 공기압 체크 문구가 더 자주 보입니다. 이유는 겨울철 차가운 공기로 압력이 수축하여 발생한다고 합니다. 과학적인 이유는 여기서는 이정도로만 설명하겠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표시 경고등이 뜨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공기압이 너무 높거나 낮을 때 혹은 타이어 펑크로 인해 계속적으로 저압이 표시될 때 입니다. 4개의 타이어 중 1개가 다른 3개와 공기압이 차이가 많이 났을 때도 저압으로 표시된다고 합니다.


제가 알아본 바, 저압은 30 이하로 떨어졌을 때 나타나는 현상 같습니다.


우선 사진과 같이 공기압을  공기압이 저압 혹은 이상이 있을 때는 가까운 정비소, 타이어 전문점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잠깐의 이상으로 공기압 체크 경고등이 떴다가 안뜰수는 있지만 안전과 직결된 만큼 반드시 정비소, 타이어전문점을 방문하세요.


 여름, 겨울철 공기압 적정수치

 

여름철에는 노면이 굉장히 뜨겁기 때문에 타이어 마모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또한 공기가 팽창하기 때문에 타이어 공기압이 높게 나옵니다. 지양해야 할 행동은 공기압을 적게 넣으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여름철 타이어 공기압은 적정 공기압을 유지해주면 좋습니다. 적정 공기압은 36~38 정도로 넣어주시면 좋습니다.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은 38~40 정도를 유지해주면 좋습니다. 겨울철에는 공기압이 쉽게 내려가기 때문에 이정도로 넣어주시고 34정도로 내려오면 다시 충전해주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실 여름이나 겨울이나 적정수치가 있지만 보통은 38정도로 넣어주신다고 생각하고 사계절을 유지해주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것 같습니다(개인적으로 인터넷을 여럿 검색해봤지만 이 정도의 전문가 의견이 많았음)

자신의 운전 도로가 고속도로가 주라면 공기압은 살짝 높은 것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공기압은 연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또,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치보다 많이 떨어지게 될 경우 타이어의 수명도 그만큼 단축된다고 하니 계절이 바뀔때라도 주기적으로 점검해준다면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겠죠?


 운행 중 공기압 체크 문구 대처

 

가까운 거리를 운행하거나 운이 좋게 차량을 운행하지 않을 때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뜬다면 다행이지만 보통은 운행 중 공기압을 체크하라는 문구가 뜹니다.


보통 차량 내에서 공기압을 체크하는 시스템이 어느정도 차량을 운행했을 때(운행거리가 일정부분 나왔을 때) 반영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운행 중이시라면 아래와 같이 꼭 대처해주세요.

1. 차량을 정차할 안전한 장소 찾기
2. 내려서 육안으로 못이 박혀있는지 펑크가 나있는지 확인
3. 발로도 꾹꾹 눌러보면서 이상이 없는지 확인(이상이 있으면 보험 긴급출동 부르기)
4. 육안으로 이상이 일단 없다면 천천히 주행하여 가까운 타이어 전문점 방문
5. 공기압 체크 후 적정 수치로 공기압 주입하기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안전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운행 중에도 꼭 위와 같이 체크해주세요. 사실 육안으로 공기압을 체크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일단 타이어에 문제가 없는지 반드시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보통은 길을 가다가 못을 밟거나 등의 이유로 갑자기 공기압이 낮아질 수 있고 겨울철, 여름철과 같은 날씨때문에 공기압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별 것 아닌거라고 넘기다가 타이어 뿐 아니라 휠에도 이상이 생길 수 있고 더 큰 비용을 지불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길을 가다가 갑자기 타이어 저압 문구가 떠서 확인해보니 못이 박혀있었습니다. 위치에 따라서 소위 지렁이를 박을 수도 있고 타이어를 교체해야 할 수도 있는데 저는 다행히 위치가 좋아서 지렁이로 임시 납땜을 했습니다. 운행하는 것에는 큰 무리가 없다고하네요.


그래도 이것을 확인하지 않았다면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고 지금보다 더 큰 비용을 지불해야 할 수도 있었겠죠? 여러분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728x90